그래픽 디자인을 하다가 퇴사한 유빈은 개인 브랜드를 운영하는 친구들이 주변에 많았지만 정작 본인은 브랜드를 오픈할 생각이 없다고 자주 말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좋아하는 것을 오랫동안 들여다보고 발견하는 시간들이 쌓여 ‘가재’와 ‘수건’이라는 아이템이 남았고,
퇴사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수건, 러그, 수건 옷과 같은 말랑말랑한 것에 가재가 담긴 제품을 판매하는 ‘랍스터 룸’을 구상하게 되었다.
취향을 일로 가져갈 때 자신이 좋아하는 건 갖고 싫어하는 건 피하는 모듈링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들이 있다.
주체적이고 유동적인 개념의 노동이 가능하다는 기대 하에 많은 사람들이 자영업 혹은 자신만의 사업체를 운영하고 싶어 한다.
넓은 자영업의 범주 중에서도 본인이 사랑하는 것을 브랜딩화 하는 작업은 여러 고민을 가져온다.
유빈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기 사업을 운영하는 것과 자신만의 브랜드를 가지는 것에 대한 섬세하고 예리한 차이를 파악할 수 있을 것도 같았다.
그리고 그 사이에서 취향이 얼마나 큰 요소로 작용하는지도 말이다.
시작
브랜드는 오픈은 언제부터 구상하신 건가요?
원래 그래픽 디자인하는 사람이었어요. 주변에 패션업계에 종사하거나 다른 친구들을 보면 자신만의 레이블 혹은 브랜드를 갖고 싶어 하는 친구들이 많은데 저는 그런 쪽과 거리가 멀어서 딱히 관심이 없었어요.
오랫동안 생각하고 계획했다기보다는 ‘올해 초쯤에 이걸 해야지’ 해서 그냥 하고 있는 거예요. 저도 맨날 내가 왜 이걸 했을까 생각할 때가 많긴 한데 회사에서는 어쨌든 사원으로서 일하는 거니까 내가 최종 결정자가 아니고 내가 무언가를 만들고 싶다고 해서 만들 수 없잖아요.
그런데 제 브랜드를 만들면 ‘내가 생각해도 이상하긴 한데 나는 만들고 싶어!’ 하면 만들 수 있겠더라고요. 그래서 하고 있는 것 같아요.